현재까지 KT는 SK텔레콤과 같은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고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과거에 보안 관련 문제가 있었던 바 있으며,
최근 SK텔레콤의 해킹 사건 이후 고객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유심보호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 KT의 과거 보안 이슈
2024년, KT는 웹하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PC에 악성코드를 배포하여 약 60만 명의 기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사건은 망 관리를 명목으로 이루어졌으나, 고객의 동의 없이 이루어진 점에서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 KT의 현재 보안 조치 및 예방 방법
1. 유심보호서비스 무료 제공
- 가입 방법:
- 마이KT 앱: 앱 실행 → 전체 메뉴 → '보안관리' → '유심보호서비스 신청'
- KT 고객센터: 국번 없이 100번으로 전화하여 신청
- KT 대리점 방문: 신분증 지참 후 방문하여 신청
이 서비스는 유심이 다른 기기에 무단으로 장착되거나 복제되는 것을 차단하여, 유심 스와핑과 같은 범죄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2. 개인 보안 강화 방법
- 유심 PIN 설정: 스마트폰 설정에서 유심에 비밀번호(PIN)를 설정하여 무단 사용을 방지합니다.
- 해외 로밍 차단: 해외에서의 무단 유심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로밍 기능을 차단합니다.
- 의심스러운 활동 모니터링: 휴대폰이 갑자기 먹통이 되거나, 단말기 변경 알림을 받는 경우 즉시 고객센터에 문의합니다.
- 유심 교체 고려: 유심 정보 유출로 불안한 경우, 가까운 대리점을 방문하여 유심 칩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 KT 고객센터 연락처
- KT 고객센터:
- 휴대폰에서 100(무료)
- 유선전화: 1588-0010(유료)
최근 SK텔레콤의 해킹 사건을 계기로, 모든 통신사 이용자는 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KT 이용자분들께서는 위의 안내에 따라 유심보호서비스를 활성화하고, 추가 보안 조치를 통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시기 바랍니다.
2025.04.27 - [분류 전체보기]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 문제점 및 해결방법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 문제점 및 해결방법
🧩 사건 개요언제?2025년 4월 19일 밤 11시쯤.어디서?SK텔레콤의 일부 내부 시스템이 해킹당했어요. 해커가 SKT 서버에 악성코드를 심었고, 이를 통해 가입자들의 유심(USIM) 정보를 빼낸 것으로 확
adsenseall.com